본문 바로가기

GIT7

GIT2 - 버전간의 차이점 GIT2 버전간의 차이점 비교 기존에 있는 hello.txt 파일에서 3을 지우고 four을 입력한 상태이다. 여기서 버전 간의 차이점을 알 수 있는 명령어가 있는데 바로 git diff라는 명령어이다. git diff를 한 결과 빨간색으로 되어 있는 -3 은 수정전의 내용이고 , 노란색으로 되어있는 +four는 수정 후 추가되었다는 것이다. 그래서 git diff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커밋 전에 이전 작업하고 마지막 버전에서 검토를 할 수 있게끔 해준다. 모든 버전과 차이점 비교를 알려주는 명령어가 있는데, git log -p 이다. 그 결과를 보면, Message 3라고 되어있는 이 커밋(버전)은 a/hello.txt라는 파일을 가지고 있는데 , 마지막 버전 b/hello.txt에서 +3 , 즉 3이라.. 2021. 2. 17.
GIT 3 - checkout GIT 3 - checkout HEAD가 현재 가리키는 브런치는 master 이며, 이 마스터는 버전 Message 3를 가리키고 있다. Message 2 커밋 상태로 이동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? HEAD 를 Message 2 버전으로 가리키게 하면 될것이다. 살펴보자. 현재 버전에서는 hello.txt, hello2.txt 이며 각각 1,2,3 과 3 텍스트가 저장되어 있다. git checkout 을 통해 과거로 이동함을 볼 수 있다. checkout 뒤에 있는 코드는 무엇이냐면, 위에서 git log를 통해서 보았던, 버전 Message 2의 커밋 ID이다. HEAD is now at 0c7a0bf... Message 2 를 통해서 현재 HEAD가 커밋 2번째를 가리킴을 알 수 있다. 2번째.. 2021. 2. 17.
GIT 생성 GIT 의 시작 일단 아무것도 없는 파일을 하나 만들었다. 그리고 hello-git 이라는 파일을 GIT으로 버전 관리하기로 정했다. GIT에게 버전관리를 시키기 위해서는 git init . 사용해야한다. init은 초기화를 의미하며, . 은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한다. 그리고 새롭게 이전에 없었던 .git이라는 파일이 하나 생겼는데, 이 파일을 들어가보면 HEAD, branches를 비롯해 여러 파일들이 생겨났다. 즉, GIT은 버전관리를 통한 여러 변경사항 등의 정보를 .git 이라는 파일에서 관리한다는 의미이다. GIT의 세가지 영역 git directory 는 프로젝트의 메타데이터와 객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곳으로, 위에서 말했던 .git 파일을 말하기도 한다. commit을 통해서 이 파일을 .. 2021. 2. 16.